금융은 어떻게 사회와 동행하는가
by 김경민(카페24 Business Analyst)
Intro
어느덧 2023년의 끝이 보인다. 여러 가지 좋은 일들도, 나쁜 일들도 다양했겠지만, 분명한 것은 사회 전반적으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만연해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 공기업 신규 채용은 4년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으며,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중견기업들 역시 채용을 감소하고 있다.
이런 배경에는 미국의 금리 인상,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위기 등으로 시장에 유통되는 자금이 인색해진 것이 있다. 시장에 흐르는 돈이 줄어들면서, 당장 돈을 못 벌어도 투자를 통해 새로운 도전을 하는 것은 사치가 됐다. 기업들은 당장의 흑자를 내는 것이 중요해졌고, 그 과정에서 채용을 최소화하게 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런 과정에서 한동안 경영전략의 화두 중 하나였던 ESG가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 대표적으로 미국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락(BlackRock)은 ESG 요소를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ESG 공시를 의무화하도록 만들었던 기업이다. 다만, 그런 기업이 작년 상반기 “과도한 기후변화 대책은 고객사들의 재무적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라면서 기존 스탠스를 변경하면서 화제가 됐다.
ESG의 개념과 가치
그렇다면 ESG 활동은 의미가 없는 것일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 ESG의 개념을 간단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기업은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서, 기업은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을 다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인 가치를 만들어내야 한다.
기업은 경제 활동의 핵심 주체로 재무적 성과로 사회적 가치를 만들지만, 이들이 만드는 사회적 가치 중 비재무적인 성과들 또한 존재한다. 그것은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같은 요소들이며, 우리는 이것을 줄여서 ESG라고 부르고 있다.
ESG가 중요한 이유는 기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기업은 정부, 투자자, 소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엮이며 이들의 기대를 충족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지금 소비자의 경우 자신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기업에 대해 소비하거나, 그 기업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 대표적으로 ‘서학개미'가 사랑하는 기업인 테슬라 역시, 당장의 수익성이 미흡했던 시기에도 지구의 환경을 생각하는 테슬라의 비전에 공감하는 많은 개인이 투자했다. 또는 실리콘밸리의 교복이라 불리는 파타고니아 역시, CEO의 환경에 대한 진정성에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해당 브랜드에 대한 소비로 지지를 표시하고 있다.
소비자와 개인뿐만 아니라, 기관들 또한 ESG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인다. 미국 최대 연기금인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California Public Employees’ Retirement System:CalPers)가 대표적이다. 2016년부터 연기금의 자산을 관리하는 자산운용사에서 ESG를 고려할 것을 요구했다.
우리가 여기서 생각해 볼 것은 연기금이 단순히 좋은 일을 하는 단체가 아니라는 점이다. 결국 연금을 제공하기 위해서 투자 성과를 내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비재무적 성과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블랙락의 결정 또한 재무적 성과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이것이 비재무적 성과인 ESG가 덜 중요하다고 볼 수 없는 이유다.
금융사의 ESG, 자금을 가치 있는 곳으로
금융사의 ESG도 위와 유사한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금융사의 경우, 자금의 흐름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ESG 가치가 있는 곳으로 돈을 융통하는 방식으로 사회적인 가치를 창출한다.
자본시장연구원에서 발표한 리포트에 따르면, 금융사는 자사뿐만 아니라 타사의 ESG 수준을 평가 및 제고하는 형태로 ESG를 실천한다. 자사의 탄소배출 감소, 지역사회와 협력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도 있지만, ESG에 대한 명확한 원칙을 세우고, 이에 맞는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거나 억제하는 형태로 ESG 활동을 전개한다.
소매금융 사업 역시, 리테일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ESG 활동을 전개한다. 녹색 대출, 지속 가능 연계 대출과 같은 상품이 대표적이다. 녹색 대출은 태양광, 풍력발전소 등 친환경 사업에 대출을 해주고, 이런 사업들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지속 가능 연계 대출은 기업의 지속 가능 목적 달성에 따라서 이자율을 다르게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소가 가능한 목표를 이뤄가는 기업들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실제 MSCI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12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전 세계 및 신흥시장에서 ESG 성과가 높은 기업의 자본 조달 비용이 적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자본비용, 자기자본비용, 부채비용이 모두 낮아지기 때문에 ESG를 잘 실천한 기업에 금융사의 자금이 공급된 것이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MSCI에 따르면 2015년 12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전 세계 및 신흥시장에서 ESG 성과가 높은 기업의 자본 조달 비용이 낮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자본비용, 자기자본비용, 부채비용이 모두 낮아지기 때문에 ESG를 잘 실천한 기업들에게 금융사의 자금이 공급된 것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투자/대출을 하지 않는 지급결제사는 어떨까? 지급결제사 역시, 자금을 필요한 곳으로 공급한다는 측면에서 같은 맥락의 ESG활동을 전개한다. 결제를 하는 소비자들의 자금 흐름이 우리 사회의 가치 있는 곳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관련한 금융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면, BC카드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도 이런 활동에 속한다. BC카드는 지난달부터 부산 및 창원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BC카드로 2만원 이상 결제하면 20%를 할인해주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정말 단순하게 고객이 받는 할인 혜택을 회사에서 이용가능한 마케팅 비용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다만, 그 소비처를 전통시장으로 정했다는 점에서 지역사회의 영세중소상공인들과 상생하려는 기업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지난 9월에 도입한 ‘가맹점 대금 입금 기일 단축 서비스’ 역시 이런 영세중소상공인들에게 필요한 자금 유동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사한 성과다.
BC카드에서 만든 ‘어디로든 그린카드' 역시 ESG 실현을 위해 새로운 금융상품을 개발한 사례이다. 환경부와 함께 녹색소비 문화 유도를 위해서 출시한 상품으로, 친환경 이동 수단에 대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심지어 쏘카와 같은 공유모빌리티, 대중교통의 이용에도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환경에 기여하는 개인들에게 경제적인 인센티브가 돌아가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사람이 녹색소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선순환을 만드는 것이다.
더 따뜻한 2024년을 기대해 보며
공급망 위기, 경기 침체 등 삶을 팍팍하게 만드는 단어들이 난무했지만, 그 안에서도 많은 기업들은 여전히 미래와 우리 사회를 위한 사과나무를 심고 있었다. ESG 활동의 결과가 지금 당장 재무적 성과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이런 활동에 꾸준히 투자한 기업은 결국 그 사회의 이해관계자의 인정을 받는다. 이 과정에서 서로가 윈윈하는 결과를 가져오면서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높여갈 것이다. 2023년에 심은 희망의 나무들이 잘 자라서, 2024년에는 올해보다 더욱 따뜻한 숲으로 자라나길 바란다. "끝".
참고자료
- 『ESG는 단순한 리스크 관리 지표 아냐. 새 기회 창출할 성장 동력으로 삼아라』, 동아비즈니스리뷰, 2020.11
- 『해외 금융회사의 ESG 경영 현황 및 시사점』, 자본시장연구원
- 『BC카드, 부산•창원 등 수산물 전통시장 상권 활성화』, 연합인포맥스, 2023.11.17
- 『BC카드, ‘新 그린카드’ 출시… 탄소중립 실현 앞장』, 금융경제신문, 2023.11.08